L
E
S
C
LMO 환경안전성센터
생명공학 연구개발의 건전하고 지속적인 발전, 국립생태원 LESC가 함께합니다.공지사항
- 제148차 LMO 위해성 전문가심사(협의)위원회 개최 알림2025-04-15
- 제147차 LMO 위해성 전문가심사(협의)위원회 개최 알림2025-03-25
- 제146차 LMO 위해성 전문가심사(협의)위원회 개최 알림2025-02-18
LMO 뉴스
- 국내"생물다양성도 산업과 연계" ... 환경부, 생물다양성융복합센터 건립 추진 환경부가 생물다양성 분야를 제약, 화장품, 식품, 농업 등 다양산 산업과 연결하려는 목적으로 국가생물다양성융복합센터 구축을 계획하고 있음 해당 센터를 통해 산업계 학계 연구기관을 연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등 어려운 여건이 남아있는 상황 센터를 만든다고 당장 생물다양성 분야에서 사업성이 나타날 것이라 보기는 어려운 상황이고 다른 부처의 국가 R&D 사업과 종복될 가능성도 많기 때문에 예타의 벽을 넘기는 쉽지 않아 보임 환경부는 이전 정부에서도 '그린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생물다양성 클러스터 조성을 추진했지만 예타 단계에서 무산된 전례가 있어, 이번에는 정책을 구체화하여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힘 https://biz.chosun.com/policy/policy_sub/2025/07/11/FDTFJFOJ6VF5NPFWIZMOSAHGWM/
- 국내위해성평가 및 관리 온라인포럼 논의 결과(2025-18) 2025년 7월 캐나다 몬트리올에서 개최되는 임시 특별전문가그룹회의 논의를 위해, 사무국은 유전자변형생물체 위험평가와 관련된 추가 가이드라인 개발의 필요성을 검토하고자 유전자변형 조류, 어류 등 15개 주제를 선정하여 개방형 온라인 포럼을 진행하였다. 대부분의 주제에 대해 이미 다양한 국제기구에서 위해성평가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 있어, 새로운 가이드라인 개발보다는 기존 사례별 평가 및 가이드라인의 적극적 활용과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이번 브리핑에서는 온라인포럼에서 논의된 주요 내용을 요약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작성자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주석 선임연구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