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LMO 위해성 평가 기관
생명공학 연구개발의 건전하고 지속적인 발전,
환경부 LMO위해성평가기관이 함께합니다.
-
공지사항
2020.0226 위해성평가 장비 업데이트 위해성 평가 장비가 업데이트 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 해당 장비는 연구시설>장비 구축 현황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 진공또는원심농축기 2. 식물생장조절실- 제97차 유전자변형생물체 위해성 전문가 심사(협의)위원회 개최 알림2019-09-25
- 제96차 유전자변형생물체 위해성 전문가 심사(협의)위원회 개최 알림2019-08-26
- 제91차 유전자변형생물체 위해성 전문가 심사(협의)위원회 개최 알림2019-07-05
-
최신동향
- 민·관 생물안전 전문가들 온라인으로 콘퍼런스 국립수산과학원은 질병관리청, 농림축산검역본부, 국가연구안전관리본부, 한국생물안전협회 등과 함께 오는 19~21일 '2021 한국 생물안전 콘퍼런스'를 온라인으로 개최 - 이번 콘퍼런스는 정부, 학계, 산업계 등 병원체와 유전자 변형 생물체를 취급하는 연구자와 생물안전 전문가 등 300여 명이 함께 생물안전과 보안에 관한 최신 정보를 공유하고 고위험 병원체 등의 위해로부터 국가와 국민의 안전 확보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 자세한 내용은 원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민·관 생물안전 전문가들 온라인으로 콘퍼런스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
- 유전자변형식품 안전은 기본! 표시는 필수?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오랜 기간 소비자단체의 압력이나 요청에도 불구하고 , 지속적으로 시행을 연기하고 있는 부분이 유전자변형식품 표시 문제다 . 표시 문제는 정부가 강력하게 반대 의견을 표명하고 있지만 , 안전은 다르다 . 일단 국내에서는 경작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거의 모든 원료가 수입되므로 , 수입 당시 어떤 규정보다 까다롭게 증명 자료와 안전성 문제를 검토하고 있다 . 그동안 계속해서 시민단체 등의 GMO 완전표시제는 사실상 답보 상태지만 , 다행스러운 것은 알권리나 산업 전반의 규제 , 진흥과 별개로 안전에 대한 것은 명확하고 투명한 절차를 거쳐 확보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 http://www.food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5884 ※ 온라인 기사의 경우 [ 저작권법 ] 에 따라 기사의 전문게시가 금지되어 있습니다 . 해당 기사로 연결되도록 링크를 제공해드리니 , 이용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