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
E
S
C
LMO 환경안전성센터
생명공학 연구개발의 건전하고 지속적인 발전, 국립생태원 LESC가 함께합니다.공지사항
- 제149차 LMO 위해성 전문가심사(협의)위원회 개최 알림2025-06-17
- 제148차 LMO 위해성 전문가심사(협의)위원회 개최 알림2025-04-15
- 제147차 LMO 위해성 전문가심사(협의)위원회 개최 알림2025-03-25
LMO 뉴스
- 국내 미래 식량안보 위기 속 ‘푸드테크’의 역할 강조 기후변화와 인구 증가, 불안정한 국제 정세로 대한민국의 식량안보 위기가 심화되고 있음. 고려대학교에서 열린 제2회 식량안보세미나에서 전문가들은 지속 가능한 미래 식량 시스템 구축을 위한 핵심 해법으로 ‘푸드테크 ’의 중요성을 강조함. 세미나에서는 GM 기술, 대체 단백질, 식품 조사 기술, 공기 합성 단백질 등 4대 핵심 푸드테크가 소개되었으며, 국내 기술은 사회적 불신과 규제에 막혀 발전이 지연되고 있다고 분석됨. 곽상수 명예교수는 GM작물 연구 중단이 식량주권 포기라고 지적하며, 정부의 명확한 입장 표명과 생명공학 품종 개발 정상화, 기후 대응형 GM작물 개발 및 식량안보특별법 제정을 제안함. 박현진 소장은 대체육을 기후위기와 식량안보 대응의 필수 전략으로 제시하고, 축산업과 대체육 산업이 경쟁이 아닌 협력 관계로 발전해야 한다고 주장함. 김상철 이사는 식품 조사 기술의 안전성과 산업적 유용성을 설명하며, 소비자 인식 개선과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함. 이민혁 교수는 공기 중 기체와 전기를 이용해 단백질을 생산하는 ‘공기합성 단백질’ 기술을 소개하며, 핀란드와 미국의 상용화 사례를 제시함. 이어진 토론에서는 GMO와 조사기술의 전략적 도입 필요성과 식약처의 신기술 정책 반영 계획이 논의되었으며, 생명공학 기술의 과학적 검증과 사회적 합의를 통한 식량주권 확보의 중요성이 제시됨. 아예 멸종된 건데…놀랍게도 복원될 수도 있다는 닭보다 10배 큰 '이 동물'
- 국내GMO 완전표시제 도입 논란, 소비자 가격 부담 vs 표시 강화 요구 식품업계는 GMO 완전표시제가 시행되면 Non-GMO 원료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제품 가격이 오를 수 있다고 주장함. 박진선 한국식품산업협회장은 “GMO가 아닌 콩은 공급에 한계가 있어 가격이 올라갈 수밖에 없다”며 “결국 소비자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힘. 그는 또한 “완전 표시제 시행 시 기업 간 역차별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으며, 식품산업협회와 식품과학회를 포함한 12개 단체는 완전표시제 시행 시 Non-GMO 원료를 해외에서 수입해야 해 원료 간 가격 차이가 20~70%에 달할것이라고 주장함. 이들 단체는 간장, 전분당, 식용유 등 기초 가공식품의 가격이 연쇄적으로 상승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함. 시민단체는 이러한 주장에 반박하며 가격 차이가 크지 않다고 강조함. 문재형 GMO반대전국행동 대표는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식품안전정보원이 주최한 GMO 표시제도 포럼에 패널로 참석해 “BBQ는 올리브유를 사용하고, 교촌은 GMO 기름을 사용하지만 BBQ 프라이드 치킨은 2만3000원, 교촌은 2만1000원으로 가격 차이는 크지 않다”며 “소비자가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말함. 한국에서는 최종 제품에 유전자변형 DNA나 단백질이 남아있지 않으면 표시 의무가 면제되며, 이재명 대통령은 두 차례 대선에서 GMO 완전표시제 도입을 공약으로 제시함. 그는 앞서 2021년 치러진 대선에서도 식용유·당류·장류 식품부터 표시를 의무화해 국민의 알 권리와 선택권을 강화하겠다고 밝힘. GMO 완전표시제 놓고 '가격 논란'…BBQ·교촌 언급, 왜?1